백영서 (白永瑞) 1953-
Paek, Yŏng-sŏ
白, 永瑞
Paek, Yŏng-sŏ, 1953-
백영서
Baeg, Yeong seo 1953-
VIAF ID: 255956817 (Personal)
Permalink: http://viaf.org/viaf/255956817
Preferred Forms
- 100 1 _ ‡a Baeg, Yeong seo ‡d 1953-
- 100 1 _ ‡a Paek, Yŏng-sŏ
- 100 1 _ ‡a Paek, Yŏng-sŏ, ‡d 1953-
- 100 1 _ ‡a Paek, Yŏng-sŏ
- 100 1 _ ‡a 白, 永瑞
- 100 1 _ ‡a 白, 永瑞
- 100 0 _ ‡a 백영서
- 100 1 _ ‡a 백영서 ‡g 白永瑞 ‡d 1953-
4xx's: Alternate Name Forms (43)
Works
Title | Sources |
---|---|
100년の변혁 3・1운동からキャンドル혁명まで | |
Asia ui 20 segi jiyeok byeondong gwa jiyeok sangsang | |
Byeonhwa ui sidae reul gongbu hada | |
Chaenan kwa kamsusŏng ŭi pyŏnhwa : saeroun mi t'amsaek | |
Chungguk hyŏndae taehak munhwa yŏn'gu : 1920-yŏndae taehaksaeng ŭi chŏngch'esŏng wigi wa sahoe pyŏnhyŏk | |
Chungguk hyŏndaesa rŭl mandŭn se kaji sakŏn : 1919, 1949, 1989 | |
Chungguk sahoe sŏngkyŏk nonjaeng, 1988: | |
Dong Asia hyeongmyeong ui bam e Hangukhak ui hyeonjae reul mutda | |
East Asia as a discovery | |
East Asia as intellectual thought : history and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Peninsular | |
Fen duan ti zhi, min zu wen xue | |
Gaebyeok ui sasangsa | |
Haeksim hyŏnjang esŏ Tong Asia rŭl tasi mutta : kongsaeng sahoe rŭl wihan silch'ŏn kwaje | |
Hanbando pyeonghwa beonyeongnon ui saegusang | |
Jaenan gwa gamsuseong ui byeonhwa | |
Jungguk geunhyeondaesa gangui | |
Jungguk, saeroun paereodaim | |
Mul gwa Asia mi | |
Naeil ŭl ingnŭn Han-Chung kwan'gyesa | |
Paendemik ihu Jungguk ui gil eul mutda | |
Paengnyŏn ŭi pyŏnhyŏk : 3.1 esŏ ch'otpul kkaji | |
Posuto "Higashi Ajia", 2006: | |
Pundan chʻeje - minjok munhak | |
Sahoe inmunhak ŭi kil : chedo rosŏŭi hangmun, undong ŭrosŏŭi hangmun | |
Si xiang dong Ya : Chaoxian ban dao shi jiao de li shi yu shi jian | |
Tong Asia tamnon ŭi kyebo wa mirae : taean ch'eje ŭi kil = The genealogy and prospect of East Asia discourse : the way to an alternative system | |
Tong Asia ŭi kwihwan : Chungguk ŭi kŭndaesŏng ŭl munnŭnda | |
Treatises. Selections. | |
Works. | |
Yi Yŏng-hŭi sŏnjip | |
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지구화 시대의 매체, 이주 | |
교차하는 텍스트, 동아시아 | |
권력과 학술장 1960년대∼1980년대 초반 | |
내일을 읽는 한·중관계사 | |
동아시아 근대이행의 세 갈래 | |
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 | |
동아시아, 문제와 시각 | |
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| |
동아시아의 오늘과 내일 | |
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| |
동아시아인의 '동양'인식 19-20세기 | |
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 최원식 정년기념논총 | |
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瑞南 李洋球 회장 10주기 추모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| |
백낙청 평론선 | |
백년의 변혁 3·1에서 촛불까지 | |
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분단체제론과 변혁적 중도주의 창비담론 아카데미 | |
분단 체제 - 민족 문학 | |
사회인문학과의 대화 | |
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, 운동으로서의 학문 | |
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 | |
아름다운 사람 사랑 고독 꾸밈 성찰 수행 감각 | |
오끼나와,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 | |
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| |
이기백의 학문과 역사연구 | |
인문학@미래를 여는 길 | |
재난과 감수성의 변화 새로운 미 탐색 | |
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| |
중국 근현대사 강의 | |
중국, 새로운 패러다임 18인 석학에게 묻다 | |
중국사회성격논쟁 | |
중국현대사를 만든 세가지 사건 1919·1949·1989 | |
촛불의 눈으로 3·1운동을 보다 | |
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 대안적 문명과 거버넌스 | |
한반도 평화번영론의 새구상 | |
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: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 | |
ポスト 「東 アジア」 = Post "East Asia" | |
中國現代大學文化硏究 1920年代 大學生의 正體性 危機와 社會變革 | |
百年の変革 三・一運動からキャンドル革命まで | |
共生への道と核心現場 実践課題としての東アジア | |
歴史は生きている. | |
思想东亚 朝鲜半岛视角的历史与实践 | |
横觀東亞 : 從核心現場重思東亞歴史 | |
韓国・朝鮮の美を読む |